NEWS
Home _ 커뮤니티 _ 건강칼럼
무지외반증으로 변형된 발가락, 교정기로 회복 가능할까?
"발가락이 휘어지기 시작했지만, 교정기를 착용하면 나아질 거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변형은 그대로였고, 통증만 점점 심해졌습니다."
30대 직장인 박모 씨의 이야기다. 그녀는 무지외반증 초기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교정기만 사용해 왔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친 탓에 변형이 점차 악화되었고, 결국 병원을 찾았다.
교정기 사용, 뼈의 변형 이후에는 효과 기대 어려워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휘어지면서 통증과 함께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최근 무지외반증 환자가 늘어나면서 시중에는 다양한 무지외반증 교정기와 보조기 제품이 쏟아지고 있다.
무지외반증을 앓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무지외반증 교정기'를 검색해 봤을 것이다. 교정기를 착용하면 발가락 변형이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를 품기 쉽지만, 과연 시판되는 교정기로 변형된 발가락을 근본적으로 회복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정형외과 전문의들은 하나같이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시판 교정기는 착용 중 일시적인 통증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변형 초기에는 교정기와 발가락 스트레칭 운동이 증상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이미 뼈의 변형이 진행된 상태에서는 근본적인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교정기만으로는 치료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근본 치료를 위해 수술적 교정 필요할 수도
무지외반증의 근본적인 치료법은 결국 수술적 교정이다. 무지외반증 수술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교정절골술은 휘어진 엄지발가락의 뼈를 원래 각도로 돌려 정렬한 후 핀이나 나사로 고정하는 방법이다. 변형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원위부 절골술 △근위부 절골술 △복합 절골술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환자 상태에 맞춰 적합한 수술 방법을 선택한다.
최근에는 최소침습수술법이 도입되면서 흉터와 부작용을 줄이고 회복 기간을 단축시키는 치료법도 주목받고 있다. 수술적 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변형의 정도에 따라 맞춤형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변형을 교정하고 발가락의 기능을 되찾기 위해 전문의의 상담과 진단이 필수적이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무지외반증 교정기는 일시적인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그 자체가 치료라 할 수는 없다. 무지외반증이 악화되기 전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